
행정관리학(정상현, 형설출판사) - 초판 2쇄 발행(2017. 8. 28.) 도서소개 『행정관리학』은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를 망라하되 한 학기에 전체 내용을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분량을 적절히 안배하였다. 총 8장으로 구성된 본 저서는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와 행정실무적인 측면 등을 쉽게 서술하였다. 본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할 모든 분야를 망라하되 한 학기에 전체 내용을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분량을 적절히 안배하였다.
2. 총 9장으로 구성된 본 저서는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와 행정실무적인 측면 등이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특히 한글을 전용하되 필요한 경우 괄호로 한자와 영어를 제시함으로써 한글세대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서술하였다.
3. 또한 일화만자(一畵萬字)를 염두에 두고 독자들이 책을 볼 때 지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저자는 자신의 수채화작품을 이번 신간 서적의 전면과 후면의 표지 뿐만아니라 장별의 앞면에 넣어 그림을 감상하도록 하였다.
목차
제1장 행정조직과 인간관리
제1절 리더십 / 18
1-1 리더십의 의의 / 19
1-2 리더십 개념과 혼동되는 유사개념 / 21
1-3 리더십의 구성요소 / 23
1-4 리더십의 주요 차원 / 24
1-5 리더십의 기능 / 26
1-6 리더십의 유형 / 27 1-7 리더십의 이론적 연구 / 29
1-8 리더십에 관한 실증적 연구모형 / 31
1-9 리더의 행태와 집단의 효과성 / 35
제2절 조직과 개인 / 38
2-1 조직과 개인의 관계 / 38
2-2 개인행동의 변이성 / 39
2-3 인간관과 인간관리전략 / 40
2-4 동기부여이론 / 46
2-5 조직의 성격형 / 53
제3절 공무원의 사기 / 55
3-1 사기의 의의 / 56
3-2 사기의 성격 / 56
3-3 사기의 규제요인 / 57
3-4 사기의 측정방법 / 60
3-5 사기의 앙양방법 / 61
제4절 조직의 목표 / 64
4-1 조직목표의 의의 / 64
4-2 조직목표의 기능 / 65
4-3 조직목표의 설정에 영향 미치는 요인 / 66 4-4 조직목표의 유형 / 67
4-5 조직목표의 변동 / 71
제5절 조직과 환경 / 74
5-1 조직과 환경의 의의 / 74
5-2 조직환경의 유형 / 76
5-3 조직 간의 상호관계 / 77
5-4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 / 78
제2장 행정조직과 행정관리
제6장 행정관리의 본질 / 84
6-1 행정관리의 의의와 필요성 / 84
6-2 행정관리의 목표 / 86
6-3 행정관리의 계층과 역할 / 87
6-4 행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93 6-5 행정관리의 향방 / 94
제7절 의사전달 / 94
7-1 의사전달의 의의 / 95
7-2 의사전달의 접근방법 / 96
7-3 의사전달의 유형 / 97
7-4 의사전달의 저해요인과 극복방안 / 100
제8절 기획의 본질과 과정 / 104
8-1 기획의 본질 / 104
8-2 기획의 특성 / 106
8-3 기획의 역할과 기능 / 107
8-4 기획의 원칙 / 108
8-5 기획의 과정 / 109
제9절 공공관계 / 110
9-1 공공관계의 의의 / 111
9-2 공공관계의 과정 / 112
9-3 공공관계의 기능 / 113
9-4 공공관계 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14
제10절 갈등·권위·조정 / 116
10-1 갈등 / 117
10-2 권위 / 126
10-3 조정 / 130
제3장 행정 조직과 예산관리
제11절 예산의 본질 / 136
11-1 예산의 개념 / 136
11-2 예산의 유형 / 137
11-3 예산의 기능 / 138
제12절 감축관리와 예산절감 / 144
12-1 감축관리의 개념 / 144
12-2 감축관리의 필요성 / 144
12-3 감축관리의 목적 / 146
12-4 감축관리의 대상과 방법 / 146
12-5 감축관리의 저항요인 / 148
12-6 감축관리와 예산절감 / 149
제13절 예산의 개혁 / 151
13-1 예산결정이론 / 151
13-2 품목별예산제도 / 154
13-3 성과주의예산제도 / 155
13-4 계획예산제도 / 158
13-5 영기준예산제도 / 163
제14절 행정책임 / 166
14-1 행정책임의 의의 / 166
14-2 행정책임의 특질 / 167
14-3 행정책임의 구분 / 167
14-4 행정책임의 기준 / 168
14-5 국민의 행정책임 향상을 위한 방안 / 170
제15절 행정 가치의 본질 / 171
15-1 행정가치의 접근방법과 분류 / 171
15-2 본질적 행정가치 / 172
15-3 비본질적 행정가치 / 175
제4장 행정조직과 능률관리
제16절 조직이론의 발전 / 180
16-1 조직의 개념 / 181
16-2 조직이론의 발달 / 181
제17절 조직의 유형 / 186
17-1 조직 유형연구의 목적 / 187
17-2 조직의 유형 분류 / 187
제18절 조직의 제원리 / 192
18-1 조직의 일반적 원리 / 192
18-2 기타 조직의 원리 / 200
제19절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 / 205
19-1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의의 / 206
19-2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특징과 차이점 / 208 19-3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상호관계 / 209
19-4 비공식적 조직의 유형 / 210
19-5 비공식적 조직의 기능과 통제 / 211
제20절 관료제와 행정병리 / 214
20-1 관료제의 개념 / 214
20-2 관료제 이론의 특징 / 215
20-3 웨버의 관료제 이론의 비판과 수정이론 / 219
20-4 관료제의 병리 / 222
20-5 관료제와 민주주의 / 226
제5장 행정조직과 발전관리
제21절 조직혁신 / 230
21-1 조직혁신의 의의 / 230
21-2 조직혁신의 과정 / 231
21-3 혁신담당자의 자질과 유형 / 233
21-4 조직혁신의 접근방법 / 235
21-5 조직혁신의 저항과 극복 / 237
제22절 조직발전 / 239
22-1 조직발전의 의의 / 240
22-2 조직발전의 과정 / 242
22-3 조직발전의 기법(전략) / 243 22-4 조직발전의 성공요건과 문제점 / 247
제23절 의사결정 / 250
23-1 의사결정의 의의 / 250
23-2 의사결정의 계층성 / 251
23-3 의사결정의 유형 / 252
23-4 의사결정의 과정 / 253
23-5 의사결정의 접근방법 / 255
제24절 행정 조직의 통태화 / 266
24-1 행정조직 동태화의 개념 / 266
24-2 행정조직의 동태화의 필요성 / 267
24-3 행정조직의 동태화 확보방안 / 267
24-4 행정조직의 동태화의 문제점과 전망 / 272
제25절 행정개혁 / 274
25-1 행정개혁의 의의 / 274
25-2 행정개혁의 성공요인 / 277
25-3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278
25-4 행정개혁의 과정 / 279
25-5 행정개혁의 저항 / 281
25-6 외국의 행정개혁 / 283
제6장 행정의 발달과 실제
제26절 행정의 개념과 발달 / 288
26-1 행정의 개념 / 289
26-2 행정개념의 속성 / 297
제27절 행정과정 / 298
27-1 행정과정의 의의 / 298
27-2 행정과정의 제단계 / 299
27-3 행정과정론의 장·단점 / 302
제28절 비교행정 / 304
28-1 비교행정의 의의 / 304
28-2 비교행정의 접근방법 / 305
28-3 비교행정의 이론모형 / 308
28-4 비교행정의 문제점과 비판 / 310
제29절 발전행정 / 312
29-1 발전행정의 의의 / 313 29-2 발전행정의 접근방법 / 315
제30절 신행정론 / 318
30-1 신행정론의 의의 / 319
30-2 신행정론의 이론적 특징 / 319
30-3 신행정론의 내용 / 321
30-4 신행정론의 한계 / 324
제7장 조직의 행태와 행정문화
제31절 행정이념 / 328
31-1 행정이념의 의의 / 329
31-2 행정의 제이념 / 329
31-3 행정이념 상호간의 관계 / 336 31-4 우리나라의 행정이념의 향방 / 337
제32절 행정행태의 발전과 그 영향 / 338
32-1 행태이론의 의의 / 339
32-2 행태이론의 특징 / 340
32-3 행태이론의 내용 / 340
32-4 행태이론적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 343
제33절 행정생태의 이론적 배경과 내용 / 345
33-1 행정생태론의 의의 / 345
33-2 행정생태론의 내용 / 346
33-3 행정생태론의 비판과 공헌 / 350
제34절 행정문화 / 351
34-1 행정문화의 개념 / 351
34-2 행정문화의 주요 내용 / 351
34-3 한국의 행정문화 / 352
제35절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 354
35-1 엽관주의와 실적주의의 개념 / 354
35-2 정당정치와 엽관주의의 관계 / 355
35-3 엽관주의의 성립배경과 장·단점 / 355
35-4 실적주의의 성립배경과 장·단점 / 359
제8장 행정의 대상과 접근방법
제36절 공익과 사익 / 362
36-1 공익과 사익에 대한 개념 / 362
36-2 공익과 사익과의 관계 / 365
제37절 행정과 경영 / 366
37-1 행정과 경영의 의의 / 366
37-2 행정과 경영에 대한 이론의 동향 / 366
37-3 행정과 경영의 유사점과 차이점 / 368
37-4 행정과 경영의 관계 / 372
제38절 정책결정 / 373
38-1 정책결정의 개념 / 373
38-2 정책결정과 의사결정의 유사점과 차이점 / 374
38-3 정책결정의 변수와 결정이론 / 376
38-4 정책결정의 제이론모형 / 377
38-5 정책결정의 참여자 / 381
38-6 정책결정과정 / 384
제39절 현대행정의 역할과 특징 / 386
39-1 현대행정의 역할 / 386
39-2 현대행정의 특징 / 388
39-3 정보화가 행정에 미치는 영향 / 391
제40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394
40-1 행정학 접근방법의 의의 / 394
40-2 행정학에 대한 접근방법의 제유형 / 395
제41절 조직과 지역인재할당제 / 407
41-1 지역인재할당제의 도입목적 / 407
41-2 지역인재할당제 도입의 정당성 / 408
41-3 지역인재할당제의 도입 필요성 / 409
41-4 지역인재할당제 기관도입의 사례분석 / 410
참고문헌 / 417
찾아보기 / 423
저자소개
저자 정상현은
행정학을 전공한 저자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우석대학교 행정학과에 재직 중이며, 『현대행정과 발전론』(학문사), 『인력정책행정조직론』(법문사), 『행정학개론』(신아출판사) 등 15권의 저서를 집필한 바 있다.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운영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2014년도에 한국자치행정학회 회장에 선출되었으며, 전북공무원교육원 및 각종 행정기관등에 행정학 분야 강의를 해왔다. 2008년 전북사상회에 가입 후 전북예술회관과 교동아트센터에서 5차례의 그림 전시회를 가진 바 있으며, 바이올렛 아티스트 센터 대표, 전북사생회 회장으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학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과정 졸업(행정학박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과정 졸업(행정학석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경력]
행정고등고시 1차 및 2차 출제위원 및 선정위원 지방고등고시 1차 및 2차 출제위원 및 선정위원 사법고시출제위원 한국자치행정학회 회장 안전행정부 7·9급 행정직 국가공무원 공채시험출제위원 전라북도 9급 행정직 지방공무원 공채시험출제위원 전북경찰청 인권위원회 위원장 전라북도 NGO 국제교류추진위원회 위원 전라북도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위원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 및 운영이사 한국자치행정학회 학술상 위원 한국정치학회 행정분과위원 전북지방공무원 교육원 초빙강사 우석대학교 문화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학과장 및 전공주임교수 현) 우석대학교 문화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과(조직·인사·정책학 전공) 교수 전라북도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위원 바이올렛 아티스트 센터 대표 전북사생회 회장
[저서]
『현대행정조직학』 신아출판사, 1995
『지방행정과 리더십』 신아출판사, 1996
『행정학』 내무부지방행정연수원 기획과, 1998
『현대행정과 조직사회』 학문사, 1998
『현대행정과 발전론』 학문사, 1998
『정책행정론』 신아출판사, 1999
『현대발전행정론』 신아출판사, 2000
『정책학의 이해』 신아출판사, 2001
『리더십론』 신아출판사, 2001
『인력정책행정조직론』 법문사, 2004
『인력정책과 리더십』 신아출판사, 2004
『행정학개론』 신아출판사, 2009
『행정조직관리학』 신아출판사, 2010
『행정조직관리학』 형설출판사, 2013
[논문]
공공정책의 본질과 실체, 그 탐구전망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찰공무원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분석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그 영향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행정가의 가치갈등과 그 해결 방안
지방공무원의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변동에 영향 미치는 리더십 비전이론에 대한 고찰
조직의 공식화 구조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분석 외 논문 다수
|